우리말 정신의학 용어로는 절편음란증, 물품음란증 같은 명칭이 붙어있다. 이때 절편음란증에서 절편은 잘라낸 부위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 전체가 아닌 신체 일부 부위(발 등)만을 성적 대상으로 한다는 의미이다. 간혹 신체 부위가 아닌 무정물에 대한 성애만 페티시즘이라고 한다고 아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오해이다. 정신과적 입장에선 생식활동과 무관한 신체 부위(예를 들어 발, 머리카락 등)에 대한 성적 흥분을 파셜리즘(Partialism)이라고 하여 무생물에 대한 성적흥분과 묶어 성적 페티시즘이라고 부른다. 절편음란증, 물품음란증이라는 명칭을 보면 알겠지만, 정신의학에서는 신체 일부나 무정물에 흥분할 때만 성적페티시라고 부르는 것이다. 즉 특정한 신체적 특징을 가진 사람에 대한 성애, 동물이나 어린이 등 유정물에 대한 성애, 노출증 같은 성적 행위의 방법에 대한 성애는 정신의학에선 페티시즘으로 보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XX페티시즘’이란 표현이 흔히 남용되기에 혼동하는 것이다. ‘큰 가슴 페티시‘라던가 ‘큰 엉덩이 페티시‘도 페티시가 아니다. 유방과 둔부는 신체 일부이긴 하지만 전통적으로 인간의 성행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부위이기 때문이다. 반면 정신의학자가 아닌 일반인들의 언어에서는 페티시즘은 대상의 특정한 성적 특징에 강하게 매료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즉 성도착증이랑 비슷한 뉘앙스를 갖는다. 아래 ‘일반적 용례’ 항목 참조. DSM-5에서는 이상성벽(Paraphilic Disorder) 분류에서 아래의 여러가지 성벽들을 기타 이상성벽(Paraphilic Disorders Not Elsewhere Classified)으로 몰아 넣었다. 실제로 각각의 개별 성벽의 문헌 보고가 극히 소수만이 존재할 정도로 마이너한 성벽도 많다.
댓글